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말모이는 2019년 개봉한 작품으로, 일제강점기 속에서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담아냈습니다. 배우 유해진과 윤계상이 주연을 맡아 극의 몰입도를 높였으며, 조선어학회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는 깊은 감동과 역사의 무게를 전달합니다.
일제가 우리말을 탄압하던 시대, 조선어학회 사람들은 우리말 사전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말을 모으며 조용하지만 강력한 저항을 이어갔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 말모이의 상세한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 소개, 그리고 영화가 전하는 감동적인 메시지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말모이 영화 줄거리
영화 말모이는 194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 일본은 조선어 사용을 철저히 금지하고, 한국어를 말하는 사람들에게 가혹한 처벌을 내렸습니다. 조선어 신문이 폐간되고, 학교에서도 일본어 사용이 강제되었으며, 거리에서는 조선말을 사용하는 것조차 감시받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암울한 시기에 말모이는 ‘우리말 사전’을 만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1) 까막눈 김판수, 조선어학회를 만나다
김판수(유해진)는 전과가 있는 무직자로, 생계를 위해 소매치기를 하며 살아갑니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조선어학회의 대표 류정환(윤계상)의 가방을 훔치게 됩니다. 하지만 곧 붙잡히고, 조선어학회의 일꾼으로 일하며 빚을 갚아야 하는 처지에 놓입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생계 수단으로 학회 일을 하던 김판수는 점차 그들의 목적을 이해하게 됩니다. 조선어학회는 조선의 모든 말을 모아 사전을 만들려 하고 있었으며, 이는 단순한 학문적 작업이 아닌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저항이었습니다.
2) 전국의 말을 모으는 여정
판수는 조선어학회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전국 각지의 방언과 단어를 수집하는 일을 돕습니다. 비록 글을 읽지 못하는 까막눈이지만, 그는 자신의 방식대로 사전 편찬에 기여하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조선어학회의 주요 인물들과 깊은 유대감을 쌓아가며, 자신이 지금까지 모르고 살아왔던 한글의 중요성을 깨닫습니다. 특히 그의 어린 딸이 조선말을 배울 기회조차 박탈당하는 현실을 보면서, 이 일이 단순한 사전 편찬이 아니라 조선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사실을 실감합니다.
3) 일제의 탄압과 조선어학회의 위기
일본은 조선어를 말살하려는 정책을 강화하며 조선어학회를 감시하기 시작합니다. 결국 조선어학회의 활동이 탄로 나고, 일본 경찰들은 조직을 해체하기 위해 탄압을 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김판수와 류정환을 비롯한 학회 회원들은 체포의 위기에 몰리고, 우리말 사전 원고를 지키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입니다.
주요 등장인물과 명장면 정리
1) 김판수 (유해진 분) - 까막눈에서 한글을 지키는 사람으로
김판수는 글을 읽지 못하는 까막눈이지만, 조선어학회의 일원이 되면서 점점 변화하는 인물입니다. 소매치기로 살아가던 그는 조선어학회 사람들을 만나고, 처음으로 자신의 말과 글이 탄압받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유해진 배우는 특유의 능청스러운 연기와 함께 감정 깊은 연기를 선보이며, 김판수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그려냈습니다.
2) 류정환 (윤계상 분) - 조선어학회의 지도자
류정환은 조선어학회의 대표로, 원래는 일본 유학파 출신입니다. 그러나 그는 조선어의 중요성을 깨닫고 사전 편찬에 힘쓰며, 일본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는 강한 신념을 가진 인물입니다. 윤계상 배우는 차분하면서도 강단 있는 연기로 류정환의 리더십을 훌륭하게 표현했습니다.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 한글을 지킨 사람들의 이야기1) 언어는 곧 민족의 정체성입니다
영화 말모이는 단순히 사전 편찬 과정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언어가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합니다. 일본이 조선어를 말살하려 했던 이유는 조선인의 정체성을 지우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어학회 사람들은 ‘말을 지키는 것이 곧 나라를 지키는 일’ 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2) 보통 사람들의 작은 행동이 역사를 만듭니다
김판수는 처음에는 한글의 중요성을 몰랐던 인물이지만, 점차 조선어학회의 일에 적극적으로 나섭니다. 이는 평범한 사람들도 민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역사는 위대한 영웅들만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행동들이 모여 만들어진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3) 한글은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유산입니다
영화는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던집니다. 일제강점기처럼 노골적인 탄압은 없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한글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외국어가 더 많이 쓰이는 현실을 생각하게 만듭니다.
이 영화는 과거의 인물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낸 한글을 우리가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 것인지 고민하게 만듭니다.
영화 말모이는 단순한 역사 영화가 아니라, 민족의 정체성과 언어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해주는 작품입니다. 유해진과 윤계상의 열연과 함께, 유쾌한 웃음과 따뜻한 감동을 동시에 선사합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한글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줍니다. 조선어학회의 노력이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 자유롭게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이 영화를 통해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겨 보시길 바랍니다.